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조합원7

[재건축, 재개발] 토지 현금청산 기준 서론 재개발·재건축 투자를 처음 접하는 분들이 가장 걱정하는 부분 중 하나가 '현금청산'이다. 물건 자체에 문제가 있어서 애초부터 새 아파트를 받을 수 없는 경우에는 현금청산 대상이 된다. 특히 토지 현금청산에 관해서 재건축과 재개발의 기준이 다르다. 이번 포스팅에서 재건축·재개발 토지 소유자의 현금청산 기준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론 ① 재건축 재건축 사업의 조합원이 되려면 기본적으로 '토지'와 '건축물'을 동시에 소유하고 있어야 한다. 즉, 재건축 사업에서 토지만 소유하게 되면 조합원이 못되고 현금청산 대상자가 된다. 아파트(공동주택)를 소유하고 있다면 조합원이 되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재건축 사업뿐만 아니라 단독주택 재건축 사업도 있다. 주위 정비기반시설은 양호하지만 주택.. 2023. 11. 9.
[부동산] 입주권, 분양권 가격 차이 및 뜻 서론 입주권은 재개발, 재건축 사업의 조합원이 나중에 새 아파트를 얻을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분양권은 신축 아파트 청약에 당첨될 때 얻을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즉, 재개발, 재건축 조합원은 입주권으로 새 아파트를 얻고, 청약에 당첨된 사람은 분양권으로 새 아파트를 얻는다. 분양권을 '청약 당첨권'이라고 생각하면 기억하기 편할 것이다. 이번 포스팅에서 입주권과 분양권의 특징과 가격 차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론 재개발 진행중인 A 구역이 있다고 가정해 보자. 이 구역의 전체 분양 세대가 1천 세대이고, 그중 조합원 분양이 500세대, 일반 분양은 450세대, 임대 아파트 50세대로 가정하겠다. 먼저 500세대 조합원들이 동, 호수 추첨을 하고, 이후에 일반분양 450세대가 청약 시장에 .. 2023. 9. 25.
[재건축, 재개발] 관리처분인가 뜻, 기간, 이주기간, 매매 서론 관리처분인가 단계에 이르면 재건축 재개발 사업 과정의 80% 정도 진행되었다고 볼 수 있다. 관리처분인가란 간단히 말해 내가 보유한 재건축, 재개발 물건을 신축 아파트로 바꿀 수 있는 권리로 변환하는 절차다. 이번 포스팅에서 관리처분인가에 대해 자세히 소개하고자 한다. 본론 1: 관리처분인가 설명 관리처분인가에 이르면 일반분양 세대수, 조합원분양가, 조합원 분담금, 전체 공사비와 예상 분양 수입, 비례율 등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관리처분인가 이후 가장 큰 변화는 구역 내 거주자들은 이사 준비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구역 규모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6개월 정도 이주기간을 준다. 그리고 관리처분인가를 받고 신축 아파트 준공까지는 보통 5년 정도 소요된다. 이주 시에 조합원은 이주비 대출을 받을 수.. 2023. 9. 22.
[재건축, 재개발] 시공사 선정 절차 및 투자 방법 서론재건축, 재개발 조합이 설립된 구역에 가보면 각종 건설사의 플래카드를 볼 수 있다. 이 때 대기업 건설사의 플래카드가 보인다면 눈 여겨보는 것이 좋다. 어떤 건설사가 시공하는지에 따라서 신축 아파트의 가치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내가 매수한 재건축, 재개발 매물이 미래에 브랜드 아파트로 변한다면 큰 투자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 시공사 선정 절차 및 투자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본론 1: 대기업 건설사가 뛰어든다면 사업성이 좋은 구역이다대기업(1군) 건설사는 대표적으로 삼성물산(래미안), 현대건설(디에이치), 디엘이엔씨(e편한세상), 포스코건설(더샵), 지에스건설(자이) 등이 있다. 이처럼 1군 건설사가 지은 아파트는 그렇지 않은 아파트에 비해 최소 몇 천만 원에서 1억 원까지 차.. 2023. 9.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