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투기과열지구6

서초구 (반포, 잠원, 방배) 아파트 재건축 현황 서론 서초구는 재건축의 밭이라고 표현해도 어색하지 않을 만큼 강남구에 비해 재건축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강남대로 중심으로 오른쪽이 강남구라면 그 왼쪽은 서초구이다. 서초구는 강남구와 다르게 토지거래허가구역이 없다. 하지만 투기과열지구에 적용되는 '조합원 지위 양도 금지'는 강남구와 동일하게 적용하고 있으니, 투자하기 전에 조합이나 부동산에 문의해서 조합원 지위 양도가 가능한지 확인해야 한다. 서초구는 반포동, 잠원동, 서초동, 방배동 순으로 높은 시세를 형성하고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 이러한 시세 순으로 재건축 현황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론: 서초구 재건축 현황 ① 반포동 1973년에 지어진 반포주공 1단지는 중대형 평형인 1·2·4 주구와 비교적 좁은 평형인 3 주구가 따로 재건축 사업을 진.. 2023. 10. 16.
서울시 강남구 재건축 아파트 현황 서론 토지거래허가구역이 강남구의 재건축 단지의 권역을 나누기에는 유용하다. 따라서 강남 재건축 사업 현황을 토지거래허가구역 기준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지도에서 한강과 붙어있는 압구정동을 1선, 그 아래로 청담동을 2선, 삼성동을 3선, 마지막으로 대치동을 4선으로 나누었다. 이 숫자의 순서가 강남구 시세의 순서이기도 하다. 본 포스팅은 2023년 10월 기준으로 서울시 강남구 재건축 아파트 현황을 설명한다. 본론 ① 1선: 압구정동 먼저 1선인 압구정동은 2020년 하반기에 대한민국 부동산 시장의 뜨거운 감자였다. 2020년 6·17 대책으로 '재건축 조합원 2년 실거주' 의무 요건 법안을 통과되기 이 전에 서둘러 조합설립인가를 받으려는 움직임이 활발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미성 1·2차를 제외한 모든 압.. 2023. 10. 12.
[재건축, 재개발] 투기과열지구 투자 조합원 지위 양도 조건 서론 투기과열지구에서 재건축, 재개발 투자하는 경우, 특정 시점부터 조합원 지위가 양도되지 않으므로 매수, 매도가 어렵다. 2023년 현재 강남, 서초, 송파, 용산 네 곳이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되어 있다. 해당지역에 투자한다면 아래 글을 반드시 확인하는 것이 좋다.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되면 바로 전매 제한이 적용되므로 기본 상식으로 알아두는 것이 좋다.) 본론 1: 재개발인 경우 투기과열지구에서 재개발 사업은 관리처분인가 이후로는 거래가 어렵다. 이때부터 물건을 매수해도 조합원 지위를 양도받을 수 없으므로 누구도 거래하지 않는다. 따라서 투기과열지구의 재개발 물건은 관리처분인가 이전에 활발하게 거래가 이루어진다. 보통 관리처분인가(이주, 철거) 이후에 새 아파트 준공까지 5년이 걸린다. 5년 이상 해당 .. 2023. 10. 10.
[재건축, 재개발] 관리처분인가 뜻, 기간, 이주기간, 매매 서론 관리처분인가 단계에 이르면 재건축 재개발 사업 과정의 80% 정도 진행되었다고 볼 수 있다. 관리처분인가란 간단히 말해 내가 보유한 재건축, 재개발 물건을 신축 아파트로 바꿀 수 있는 권리로 변환하는 절차다. 이번 포스팅에서 관리처분인가에 대해 자세히 소개하고자 한다. 본론 1: 관리처분인가 설명 관리처분인가에 이르면 일반분양 세대수, 조합원분양가, 조합원 분담금, 전체 공사비와 예상 분양 수입, 비례율 등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관리처분인가 이후 가장 큰 변화는 구역 내 거주자들은 이사 준비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구역 규모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6개월 정도 이주기간을 준다. 그리고 관리처분인가를 받고 신축 아파트 준공까지는 보통 5년 정도 소요된다. 이주 시에 조합원은 이주비 대출을 받을 수.. 2023. 9. 22.
반응형